총 게시물 63건, 최근 0 건
   
Re: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글쓴이 : dkp 날짜 : 2014-08-01 (금) 03:35 조회 : 1425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이 광 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마음이 몸의 주인이며 주재라고 하지만 마음이 몸의 주인이 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현대인에게는 더욱 더 어렵다. 얼마 전 200여명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강의하다 마음이 자기 삶의 주인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손을 들어보라고 하였다. 두 명이 손을 들었다.

  과학이 자연과 인간의 모든 현상을 물질적으로 거의 완벽하게 설명하니, 사람들은 마음을 더욱 이해하기 어렵다. 게다가 소비를 무한으로 창조하며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는 상업광고가 자기마음의 주인이 되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자신의 마음이 자기 삶의 주인이 되지 않는다면 주체적 인간이 되기에 부족하고, 주체적이지 못한 사람은 민주주의 사회의 진정한 주인이 되기에 부족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민주주의 삶의 이상인 자유와 평등과 박애는 주체적 삶을 살기 위하여 노력하는 자들만이 획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그 중을 진실되게 잡으라(允執厥中)

  주체적 인간이 되는 것은 이상적 삶의 기본이다. 주체적 인간이 되는 것이 오늘날 특히 더 어렵지만, 어떤 시대 어떤 인간에게나 이는 쉬운 문제는 아니었다. 자기의 생명이며 자신의 삶인데 자신이 삶의 주인이 되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려운가? 진리의 세계는 절대의 세계라고 하지만 현상세계는 모두 상대적인 것이다.

  인간에게는 마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마음은 육체와 함께 육체를 기초로 해서 있다. 육체가 없으면 마음은 존립기반을 잃고 만다. 사람은 음식을 먹어야 살고, 옷을 입어야 되고, 몸을 둘 거처가 있어야 한다. 어디 그뿐인가? 눈과 귀의 욕망과 부와 귀와 이성에 대한 욕망도 무한하다. 욕망의 뒤를 쫓다보면 마음은 자신의 주인이 되지 못하고 만다. 마음이 삶의 주인이 되지 못하면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삶인 중용의 삶을 유지하지 못한다.

  유학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 제왕인 요(堯)는 자신의 자리를 이어받을 현자인 순(舜)을 찾아 오랜 동안 능력을 시험한 다음 제왕의 자리를 물려주며 이렇게 말하였다.

  “아, 너 순아. 하늘의 운수가 그대에게 있으니 진실되게 그 중을 잡으라. 사해가 곤궁하면 하늘이 준 복이 영원히 끝날 것이다.”(논어「요왈」)

  ‘진실되게 그 중을 잡으라’(允執其中)고 할 때의 중(中)은 이후 유학 사상의 핵심이 되어,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는 ‘중의 철학서’라고 할 수 있는 중용을 저술하였다. 욕망의 시대인 오늘날도 ‘중’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큰 비석에 새겨 태학에 세워 큰 교훈으로 삼아야

  요의 유언이 끝난 다음 “순도 같은 내용으로 우에게 명하였다”는 내용이 「요왈」에 실려 있다. 상서「대우모」에서는 이를 부연하여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은미하니 정밀하게 살피고 한결같이 지켜야 진실되게 그 중을 잡는다.(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라고 나온다. 주희가 중용장구를 저술하며 그 서문에서 이를 자세하게 설명한 뒤부터 이 16글자는 성리학의 금과옥조로 되었다. 「중용장구서」는 마르크스의 공산당선언에 비견될 수 있다고 표현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이다.

  인심의 위태로움과 도심의 은미함은 인간 마음의 양면성을 의미한다. 육체를 가진 인간에게 욕망으로서의 인심이 없을 수 없지만 형체를 초월한 도심을 유학에서는 도덕적 실천의 가능성으로서 매우 중시한다. 주희는 중용장구서문에서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은미하다’는 것을 135글자로 설명하고 있다. 이어서 ‘정밀하게 살피고 한결 같이 지킴’을 ‘진실하게 그 중을 잡는’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주희의 형이상학을 강렬하게 비판하는 다산은 후반부에 나오는 주희의 설명은 취하지 않지만 앞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찬양의 뜻을 표시하고 있다.

  “『도경』의 20자와 주자 「중용장구서」의 135자는 큰 비석에 새겨 태학에 세워 만세를 위하여 큰 교훈으로 삼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매씨서평』)

  『도경』의 20자는 『순자』「해폐편」에 나오는 인심과 도심과 관련된 20글자이다 다산은 주희의 사상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이지만 인심도심설과 관련해서는 적극적인 지지를 보낸다. 다산이 주희를 ‘유학을 중흥시킨 학자(中興之祖)’으로 인정하는 것도 주희의 인심과 도심에 대한 해설 때문이다.

  맹자요의』 끝에서 “맹자가 일생 동안 노력한 것은 도심을 보존한 것이었다.”고맹자전체를 요약하고 있다. 다산은 맹자요의곳곳에서 도심을 강조하며 “도심이 보존되면 인간이 되고, 도심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없어지지 않으면 성인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도심이 보존되고 도심이 인심의 주인이 되어야 사람다운 사람이 된다는 것이다. 다산의 실천적 도덕철학의 키워드는 바로 ‘도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Re: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中'은 마음 '', '庸'은 쓰임. 그러므로 中庸중용이란 '마음 쓰기'란 뜻

그러므로 요임금이 '진실로 중(中)을 잡으라'고 말했다고 해서 그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고 '진실로 민생의 마음을 잡으라'고 한 말로 여기면 좋을 것 같음.

다시 말하여 주희가 '중용장구서'에 걱정한 바 이 당시 도가와 불교의 사상체계가 여타 제자백가들의 그 것에 비해 훨씬 고도한, 따라서 중용이란 의미는 용수(龍樹), 지의(智山+豆+頁), 지삽(智鈒) 천태지자가 말하는 중도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그러므로 순이 우에게 '인심은 위태하고, 도심은 미묘하니 정밀히 하고 한결같이 하고서야 진실로 그 中을 잡으라'는 의미는 '도를 생각하는 인민의 마음이 겨우 은미할 정도이니 한결같이 잘 생각하여 인민의 마음을 잡으라'는 쉬운 말인 줄로 압니다.

그 좋은 요ㆍ순의 말이 맹자 이후에 끊겼다가 그 도통(道統)을 이정자(二程子)를 거쳐 정식으로 계승됬음을 자부하는 주희의 자부심을 다산이 꺽을 이유가 없는 겁니다.

도심에서 다산이 주희에게 논사가 된 이유는 다산연구소 박(석무) 이사장님이 지적하신대로 영 다른 경우지요.

그리고 불가에서 말하는 중도는 잡아함(雜阿含) 12권 유수경(流樹經), 금강경 應無所住而生其心, 42章經, 선가화두 黑氏 梵志에게 설법한 放下着에서 처럼 폭이 넓습니다.

두 생각이 옳고 그름에 각기 장단점이 있을 때에 그 중간을 취하라는 가르침 역시 양편 또는 두 가지 생각으로부터 서로 한 발씩 물러나서 두 의견의 정 가운데 中의 義로서의 공가중삼제(空假中三諦)가 아닌 줄로 압니다만 잘 모르겠습니다. 


---


여담이지만 중용을 '마음쓰기'라고 번역해야하는 또 다른 경우

그 어느 누가 '제사를 지내야 합니까'라고 물었을 때에 중도로서의 중용이라면 '형식은 갖춰야 할 것 아닌가'라는 대답이 나와야 합니다.

중용 성론 해석 중에 율곡 선생에게 한 사람이 '귀신이 차려 놓은 음식을 향음합니까'라고 물었을 때에 선생의 대답은 '만약에 동삼절이라도 따스한 토굴 속에 둔 식물이 움이 트는 것처럼 조상에 대한 정성이 지극하면 귀신이 제사음식을 그러하니라'라고 선언합니다. 이 대답은 중도가 아니지요. 역시 중국에도 없는 선언적 명령일 겁니다.

그러나 일찌기 순자는 '제사는 친목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고 공자는 귀신이 '있는 것 처럼 여여(如如)하게 모신다'라고 말했습니다. 즉, 마음 쓰임입니다. 
이 것이 후일 기독교도 박해가 일어난 동기가 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율곡선생은 탁등(擢登)한 구도장원공, 아홉번이나 장원급제한 사람.
그러면서도 순자와 공자의 글을 읽지 않았다고 할 수 없지요.
이로써 율곡 선생의 마음씀이 대세를 관망하는 기회주의적인 면이 엿보이지 않습니까?

그러므로 중용 성론에 부연된 이 예화를 보더라도 중용은 '마음 쓰임'이라는 경우가 된다 싶군요.


   

총 게시물 63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dkp님의 독도ㆍ정책연구소 +7 100se 07-29 1621
63  남북통일 올가미 골디안 매듭을 누가 푸나? +2 dkpark 01-27 3263
62  62. 독도에 소나무, 울릉도에 대나무 심자 +1 dkpark 12-31 3080
61  61. 굳세어야 할 우리나라는 동화도 짧아 +1 없음 12-27 3671
60  이런 계륵의 양수와 조조의 모사 순욱을 바꿔 야그하고 있었내.... bubza 12-24 3276
59  59. 을미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없음 12-23 2895
58  58. 이석기, 김재연 발가락이 종북세력과 닮았다 +18 dkpark 12-21 1989
57  57. 당랑규선. 산 귀신이 헤살뜨는 국가기상의 고황병 +1 dkpark 11-17 1573
56  56. 이명박은 한발 한발 감옥으로 걸어가는데 김윤옥은 타랍에서 한발 한발 내려오네 +7 dkpark 11-12 1662
55  55. 전시작전권전환 무기한(?)연기론 그 이유 #2 +1 dkpark 10-28 1523
54  54. 한미 전작권 전환연기는 당연한 시세적응/한국측에서 본 관점 #1 +2 dkpark 10-28 1427
53  53. 빈호아(邊和)의 주월사 한국군 증오비 40년 +1 dkpark 10-10 1884
52  52. 노벨상. 따 먹지 못하는 그 신 포도에 돌 던지기 +1 dkpark 10-06 1691
51  51. 교리는 절대악. 참된 행복의 요청이 아니다 +1 dkpark 09-20 1550
50  50. 김대중의 나르시즘과 피그말리오니즘 +1 dkpark 09-10 2467
49  49. 강박관념에 고양이처럼 꽁하는 통치자 +3 dkpark 09-10 1371
48  48. 김대중ㆍ매국노-신한일어업협정을 파기선언하라. +3 dkpark 09-09 1450
47  47. 한국은 미국이 아니면 망할 것. 달팽이 싸움때문에 +2 dkpark 09-08 1736
46  46. 한심하게 정부각료, 관리들이 일을 안해 +4 dkpark 09-06 1549
45  45. 세월호 후유증의 비판적 검토 +2 dkpark 09-05 1381
44  44.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국왕으로 책봉하노라 dkpark 08-31 2051
43  43. 독도. 일본제국 방법론─팽창주의의 장난감 +1 dkpark 08-29 1578
42  42. 독도영유권에 대한 솔로몬 재판 +1 dkpark 08-29 2260
41  Re: 온갖 기술문명의 근본은 수학이다 dkp 08-18 1527
40  2. 다케시마는 일본인이 부르던 죽도(竹島) 즉 울릉도. 독도를 지칭함이 아님. +2 dkpark 08-09 1711
39  다케시마는 한국땅. 일본식물학자의 증언 +2 dkpark 08-07 1984
38  Re: 남한산성에서 있었던 일 dkp 08-02 1520
37  Re: 실록을 지킨 사람들 +3 dkp 08-01 1381
36  Re: 정교분리의 의미 +1 dkp 08-01 1789
35  Re: 1929년 나주역 사건의 재구성 - 국사의 재구성 +1 dkp 08-01 1731
34  Re: 민(民)에 관한 갓난아이론과 호민론 - 국민은 허점많은 갓난애같은가? dkp 08-01 1379
33  Re: 책을 읽지 않는 사람, 짐승과 무엇이 다르랴 - '공부한 본보기. 공부를 해야 하나'… dkp 08-01 1470
32  Re: 슬프고 힘들면 노래하자, ‘벤다 빌릴리’ 처럼 - 노래로 고셍을 잊자. dkp 08-01 1521
31  Re: 유학(儒學)과 천명(天命) - 천명, 과학과 민주주의. dkp 08-01 1601
30  Re: 헌쇠와 위공(爲公) - 헌쇠(古鐵) 박중기와 위공(爲公) 정수일을 생각하며 dkp 08-01 1490
29  Re: 공부는 왜 하는가? +1 dkp 08-01 1660
28  Re: 로텐부르크 성곽 도시 - 수원 화성에 대하여 dkp 08-01 1586
27  Re: 법정 스님이 사랑했던 다산 선생 dkp 08-01 1404
26  Re: 프란치스코 교황의 자본주의 비판 +1 dkp 08-01 1508
25  Re: 흡연과 건강 담론 +1 dkp 08-01 1395
24  Re: 진실, 그리고 듣고 싶은 한 마디 dkp 08-01 1293
23  Re: 종교인과 과세 dkp 08-01 1394
22  Re: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dkp 08-01 1426
21  Re: 네 살의 아들이 죽어도 그렇게 슬펐는데 dkp 08-01 1441
20  『멸절의 평화. ENDANGERED PEACE. THE PETER PRINCIPLE』 +2 dkp 08-01 1656
19  Re: 식민지 근대화론은 타당한가? (2) dkp 07-30 1432
18  Re: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을까 dkp 07-30 1534
17  Re: 폭력 없는 학교 dkp 07-30 1374
16  Re: 통치 불능의 징후는 완연한데 +1 dkp 07-30 1476
15  Re: 다산의 명문장(名文章) dkp 07-30 1445
14  Re: 엘리트주의를 생각한다 dkp 07-30 1610
13  Re: 종두술과 정약용 dkp 07-30 1979
12  Re: 선비의 마음씨를 회복합시다 dkp 07-30 1363
11  Re: 명철보신(明哲保身)의 참다운 의미 dkp 07-30 1556
10  Re: 茶山詩 독서일기(1) dkp 07-30 1452
9  Re: 큰 범죄엔 너그럽고 작은 죄에만 가혹한 세상 dkp 07-30 1364
8  Re: 친일의 변명과 옹호 담론 dkp 07-30 1329
7  Re: ‘얼빠진’ 나라의 ‘얼빠진’ 대학들 dkp 07-30 1434
6  Re: 이해할 수가 없다 +1 dkp 07-30 1496
5  Re: 국민의 수준 dkp 07-30 1389
4  현대판 조광조의 촌철살인과 공도 dkp 07-30 1556
3  Re: 분노하던 다산은 시라도 읊었는데… dkp 07-30 1433
2  Re: 세월호, 상징과 은유로 경고하다 dkp 07-29 1674
1  dkp님의 독도ㆍ정책연구소 +7 100se 07-29 1621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