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63건, 최근 0 건
   
Re: 법정 스님이 사랑했던 다산 선생
글쓴이 : dkp 날짜 : 2014-08-01 (금) 03:45 조회 : 1401

법정 스님이 사랑했던 다산 선생 

  나이가 들어가면 잠이 적어지는 지, 새벽이면 일찍 눈을 뜨게 되고 그런 때에는 가벼운 내용의 책을 읽으면 마음이 편해집니다. 법정 스님의 『내가 사랑한 책들』(2010, 문학의 숲 편집부)을 읽어가노라니, 그 책이 나온 뒤, 한 달도 채 안 되어 입적하셨던 스님께서 다산 선생을 매우 사랑하셨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스님이 건강하던 때로부터 병고로 시달리던 때까지 오랜 시일에 걸쳐, 스님과 가까운 후학들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거듭하여, 300여 권이 넘는 스님이 아끼던 책 중에서 가장 사랑했던 책 50권을 골라냈다고 합니다. 그 책들의 좋은 내용을 요약하고, 해설을 달고 스님께서 직접 가필하여 출판한 책이 바로 표제의 책이랍니다.

  그 책의 부록에 실린, ‘법정 스님의 글과 법문에서 언급된 책들’에 300권 가까운 책의 이름이 있는데, 거기에는 다산의 『경세유표』,『목민심서』,『유배지에서 보낸 편지』,『흠흠신서』등의 저서들이 열거되어 있는 것만으로도 스님의 마음을 금방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사랑한 책으로 꼽힌 50권 중에는 유일하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가 들어있습니다. 50권에는 5,6권에 이르는 국내의 책이 있는데, 그중에 다산의 책이 들어있음은 스님이 얼마나 다산을 사모했었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일생동안 참선, 독서, 글쓰기로 생애를 마친 스님은 18년의 귀양살이 동안, 책과 붓으로만 살았던 다산에 대하여 애정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면서 스님의 글에는 다산이 아들들에게 보낸 편지 글귀를 그대로 인용한 대목이 많습니다. “‘천지간에 외롭게 서 있는 내가 운명적으로 의지할 곳이라고는 오로지 책과 붓뿐이다.’ 그는 이어서 ‘너희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면 내 저술은 쓸모없는 것이 되고 말 것이다. 내 저술이 쓸모없다면, 나는 할 일이 없는 사람이 되고 만다. 그렇다면 나는 앞으로 눈을 감고 흙으로 빚은 등신처럼 앉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보라. 열흘이 못 가서 병이 날것이고, 이 병을 고칠 수 있는 약도 없을 것이다. 그러니 너희들이 독서하는 것은 내 목숨을 이어주는 일이나 마찬가지다. 깊이 새겨주기 바란다.’”를 인용하였으니, 다산의 독서이야기가 그렇게도 마음에 들었나 봅니다.

  그러면서 스님은 다산의 삶을 아름답게 기술했습니다. “살 줄 아는 사람은 어떤 상황 아래서라도 자신의 인생을 꽃 피울 수 있다. 그러나 살 줄을 모르면 아무리 좋은 여건 아래서라도 죽을 쑤고 마는 것이 인생의 과정. 그는 18년 유배생활에서 수백 권의 저서를 남겼다. 그의 재능과 출세를 시기하여 무고한 죄를 씌워 유배를 보낸 그때의 지배계층은 오늘날 그 존재마저 사라져 버렸다. 그러나 귀양살이에서도 꿋꿋하게 살았던 다산은 오늘까지 숨을 쉬면서 후손들 앞에 당당하게 서 있다. 참과 거짓은 이렇듯 세월이 금을 긋는다.” (법정 저, 『물소리 바람소리』)

  고귀한 영혼의 법정 스님, 역시 스님은 고귀한 영혼의 다산을 알아보셨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스님은 그렇게도 다산을 사랑했었나 봅니다.

박석무 드림

-----

Re: 법정 스님이 사랑했던 다산 선생

독후감. 잘 보았습니다..........................................강석(講席). 

학문, 종교, 사상은 진리가 그 근본에 있서 한 곳에 만난다면서
유종원(柳宗元)은 '폭포수 흐름이 한 곳에 모여듬'을 애곡지위회(崖谷之委會),

노자는 '모든 골짜기가 모이는 바다를 곡왕(谷王)이라'고,

불가에서는 '양안(兩岸)에 부딛치지 않는 진공묘유(眞空妙有)'를 중도.-.법화경 玄義卷八下

그러므로 서로 다른 유학자, 도가, 스님 세 사람이 만나고 나서

진(晉)의 혜원(慧遠)법사는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있으면서 앞 호계(虎溪)를 건넌 적이 없었는데 어떤 날 유가의 도연명, 도가의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하면서 결코 안 건너겠다고 맹세한 호계를 깜빡 건너버렸기에 자신이 정했던 안거금족(安居禁足)을 깼음을 알고는 세 사람이 마주 보며 웃었다고 함.-호계삼소(三笑) 
학문, 종교, 사상은 진리가 근본에 있서 한 곳에서 만난다고. 

그러므로 어느 비전진리(秘傳眞理)이든 기독교이든 믿고 안 믿는 건 같은 형제간이라도 자유. 
다산이 <조선복음전래史>에 이어  <자명소(自明疏)>, <척사방략(斥邪方略)>을 펴낸 까닭은 저술가임을 내세운 것이지만 역시 참훼소비(讒毁疏批)되어 귀양가서 500 여권을 유한제정(幽閒齊整)한 것이 우리에게는 복이 됩니다.  

다산의 마음은 신에게 드리는 제사에 있지 않고 국민을 깨닫게하는 데 있는 줄로 압니다.
그러나 외식(外飾)을 제일 중요하게 여기는 예론가들에게 죽임을 받지 않고 기사근생(幾死僅生)하신 것이나 그렇게 엄청나게 많은 글이 남겨지게 된 것도 다산의 명(命)인 것 같습니다.                                                                  1/19 勤飭




   

총 게시물 63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dkp님의 독도ㆍ정책연구소 +7 100se 07-29 1620
63  남북통일 올가미 골디안 매듭을 누가 푸나? +2 dkpark 01-27 3262
62  62. 독도에 소나무, 울릉도에 대나무 심자 +1 dkpark 12-31 3080
61  61. 굳세어야 할 우리나라는 동화도 짧아 +1 없음 12-27 3671
60  이런 계륵의 양수와 조조의 모사 순욱을 바꿔 야그하고 있었내.... bubza 12-24 3276
59  59. 을미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없음 12-23 2895
58  58. 이석기, 김재연 발가락이 종북세력과 닮았다 +18 dkpark 12-21 1989
57  57. 당랑규선. 산 귀신이 헤살뜨는 국가기상의 고황병 +1 dkpark 11-17 1573
56  56. 이명박은 한발 한발 감옥으로 걸어가는데 김윤옥은 타랍에서 한발 한발 내려오네 +7 dkpark 11-12 1662
55  55. 전시작전권전환 무기한(?)연기론 그 이유 #2 +1 dkpark 10-28 1523
54  54. 한미 전작권 전환연기는 당연한 시세적응/한국측에서 본 관점 #1 +2 dkpark 10-28 1427
53  53. 빈호아(邊和)의 주월사 한국군 증오비 40년 +1 dkpark 10-10 1884
52  52. 노벨상. 따 먹지 못하는 그 신 포도에 돌 던지기 +1 dkpark 10-06 1691
51  51. 교리는 절대악. 참된 행복의 요청이 아니다 +1 dkpark 09-20 1549
50  50. 김대중의 나르시즘과 피그말리오니즘 +1 dkpark 09-10 2462
49  49. 강박관념에 고양이처럼 꽁하는 통치자 +3 dkpark 09-10 1371
48  48. 김대중ㆍ매국노-신한일어업협정을 파기선언하라. +3 dkpark 09-09 1450
47  47. 한국은 미국이 아니면 망할 것. 달팽이 싸움때문에 +2 dkpark 09-08 1735
46  46. 한심하게 정부각료, 관리들이 일을 안해 +4 dkpark 09-06 1548
45  45. 세월호 후유증의 비판적 검토 +2 dkpark 09-05 1381
44  44.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국왕으로 책봉하노라 dkpark 08-31 2050
43  43. 독도. 일본제국 방법론─팽창주의의 장난감 +1 dkpark 08-29 1578
42  42. 독도영유권에 대한 솔로몬 재판 +1 dkpark 08-29 2260
41  Re: 온갖 기술문명의 근본은 수학이다 dkp 08-18 1527
40  2. 다케시마는 일본인이 부르던 죽도(竹島) 즉 울릉도. 독도를 지칭함이 아님. +2 dkpark 08-09 1711
39  다케시마는 한국땅. 일본식물학자의 증언 +2 dkpark 08-07 1984
38  Re: 남한산성에서 있었던 일 dkp 08-02 1520
37  Re: 실록을 지킨 사람들 +3 dkp 08-01 1380
36  Re: 정교분리의 의미 +1 dkp 08-01 1789
35  Re: 1929년 나주역 사건의 재구성 - 국사의 재구성 +1 dkp 08-01 1731
34  Re: 민(民)에 관한 갓난아이론과 호민론 - 국민은 허점많은 갓난애같은가? dkp 08-01 1379
33  Re: 책을 읽지 않는 사람, 짐승과 무엇이 다르랴 - '공부한 본보기. 공부를 해야 하나'… dkp 08-01 1469
32  Re: 슬프고 힘들면 노래하자, ‘벤다 빌릴리’ 처럼 - 노래로 고셍을 잊자. dkp 08-01 1521
31  Re: 유학(儒學)과 천명(天命) - 천명, 과학과 민주주의. dkp 08-01 1599
30  Re: 헌쇠와 위공(爲公) - 헌쇠(古鐵) 박중기와 위공(爲公) 정수일을 생각하며 dkp 08-01 1490
29  Re: 공부는 왜 하는가? +1 dkp 08-01 1659
28  Re: 로텐부르크 성곽 도시 - 수원 화성에 대하여 dkp 08-01 1586
27  Re: 법정 스님이 사랑했던 다산 선생 dkp 08-01 1402
26  Re: 프란치스코 교황의 자본주의 비판 +1 dkp 08-01 1508
25  Re: 흡연과 건강 담론 +1 dkp 08-01 1395
24  Re: 진실, 그리고 듣고 싶은 한 마디 dkp 08-01 1292
23  Re: 종교인과 과세 dkp 08-01 1394
22  Re: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dkp 08-01 1425
21  Re: 네 살의 아들이 죽어도 그렇게 슬펐는데 dkp 08-01 1441
20  『멸절의 평화. ENDANGERED PEACE. THE PETER PRINCIPLE』 +2 dkp 08-01 1656
19  Re: 식민지 근대화론은 타당한가? (2) dkp 07-30 1431
18  Re: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을까 dkp 07-30 1534
17  Re: 폭력 없는 학교 dkp 07-30 1374
16  Re: 통치 불능의 징후는 완연한데 +1 dkp 07-30 1476
15  Re: 다산의 명문장(名文章) dkp 07-30 1445
14  Re: 엘리트주의를 생각한다 dkp 07-30 1610
13  Re: 종두술과 정약용 dkp 07-30 1979
12  Re: 선비의 마음씨를 회복합시다 dkp 07-30 1363
11  Re: 명철보신(明哲保身)의 참다운 의미 dkp 07-30 1556
10  Re: 茶山詩 독서일기(1) dkp 07-30 1452
9  Re: 큰 범죄엔 너그럽고 작은 죄에만 가혹한 세상 dkp 07-30 1364
8  Re: 친일의 변명과 옹호 담론 dkp 07-30 1329
7  Re: ‘얼빠진’ 나라의 ‘얼빠진’ 대학들 dkp 07-30 1433
6  Re: 이해할 수가 없다 +1 dkp 07-30 1495
5  Re: 국민의 수준 dkp 07-30 1389
4  현대판 조광조의 촌철살인과 공도 dkp 07-30 1555
3  Re: 분노하던 다산은 시라도 읊었는데… dkp 07-30 1433
2  Re: 세월호, 상징과 은유로 경고하다 dkp 07-29 1674
1  dkp님의 독도ㆍ정책연구소 +7 100se 07-29 1620









맨위로